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like1.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교수 퇴직연금, 사학연금 실수령액, 사학연금 수령 연기, 사학연금 수령 방법, 사학연금 개시 연령, 대학교 교직원 연금, 사학연금 추가 납입, 사학연금 일시금 수령
인사혁신처 봉급표에 따르면 국공립대 교수 10호봉 월지급액은 약 270만원이며 12호봉은 약 292만원이다.
Table of Contents
[MT리포트] 누릴 거 다 누리고… 대학 교수=왕? – 머니투데이
- Article author: news.mt.co.kr
- Reviews from users: 25058
Ratings
- Top rated: 4.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MT리포트] 누릴 거 다 누리고… 대학 교수=왕? – 머니투데이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MT리포트] 누릴 거 다 누리고… 대학 교수=왕? – 머니투데이 Updating MT,교수,리포트,대학,지도,대학원생,자녀,요구,운전기사,사흘━[MT리포트]사흘에 한번꼴로 교수갑질 제보…가장 많은 갑질은?━시민단체 대학원생119, 5개월 동안 접수된 갑질 사례 125건…전문가들 “교육당국 감독 강화해…
- Table of Contents:
포토 영상
![[MT리포트] 누릴 거 다 누리고… 대학 교수=왕? - 머니투데이](https://thumb.mt.co.kr/21/2019/06/2019060621393478884_1.jpg)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답을 믿으세요
- Article author: ppa.covadoc.vn
- Reviews from users: 12622
Ratings
- Top rated: 4.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답을 믿으세요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 … 학교급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답을 믿으세요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 … 학교급별/ …
- Table of Contents: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d여기에서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공무원연금 계산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자녀 뒷바라지 대책은2018 사학연금 통계연보 – 학교급별연금종류별 월평균연금액(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특수학교 학교경영기관)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상위 32개 답변 – Kotaphoaminicom
2022년 국민연금 수령액 인상 2022 퇴직공무원연금 인상률 군인 22년 사학 연금 교사 교원 호봉표
키워드에 대한 정보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Recent Posts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 Article author: xo-jacob-xo.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3517
Ratings
- Top rated: 3.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2015년 12월 사학연금법이 개정됨에 따라 2016년 3월부터는 국립대병원 임상교수 요원과 직원들도 사학연금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사학연금3 사학연금4.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2015년 12월 사학연금법이 개정됨에 따라 2016년 3월부터는 국립대병원 임상교수 요원과 직원들도 사학연금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사학연금3 사학연금4.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최근들어 연금에 대해서 말도 많고 문제도 많은게 사실인거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4개의 공적 연금제도가 설치,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로 국민연금, 공..
- Table of Contents:
xoJACOBxo
티스토리 뷰
사학연금 소개
사학연금 가입대상
사학연금 비용 부담금
사학연금 바뀐 내용
사학연금 급여제도
사학연금 수령액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의 2배) 넘어 – 조선일보
- Article author: www.chosun.com
- Reviews from users: 26348
Ratings
- Top rated: 3.6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의 2배) 넘어 – 조선일보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 … 특히 국립대 의대 교수의 경우 상당히 높은 연봉과 수당을 오랜 기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의 2배) 넘어 – 조선일보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 … 특히 국립대 의대 교수의 경우 상당히 높은 연봉과 수당을 오랜 기간 …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의 2배 넘어 -최고수준 공무원연금 통계 294명이 평균 수령액의 2배 받아 국민연금 최고 수령액의 3배 일반인들은 꿈도 못 꿀 액수 月700만원 받는 전직 공무원도 새누리당과 정부에 의해공무원연금 개혁, 더 내고 덜 받는 연금, 하후상박 구조, 공적연금 개혁 발언
- Table of Contents:

2018 사학연금 통계연보 – 학교급별/연금종류별 월평균연금액(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특수학교, 학교경영기관)
- Article author: cleanskysea.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3233
Ratings
- Top rated: 4.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2018 사학연금 통계연보 – 학교급별/연금종류별 월평균연금액(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특수학교, 학교경영기관) 사학연금이 공개한 자료로 사학연금 수령자의 월평균수령액은 3백만원(300만원)이 넘는다. … 교수 등 대학교 사립교원 월평균 수령액이 가장 높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2018 사학연금 통계연보 – 학교급별/연금종류별 월평균연금액(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특수학교, 학교경영기관) 사학연금이 공개한 자료로 사학연금 수령자의 월평균수령액은 3백만원(300만원)이 넘는다. … 교수 등 대학교 사립교원 월평균 수령액이 가장 높다. 사학연금이 공개한 자료로 사학연금 수령자의 월평균수령액은 3백만원(300만원)이 넘는다. 고등학교 사무직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월수령액이 5만 5천원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포함 고등교육기관인..
- Table of Contents: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Article author: www.chungbuk.ac.kr
- Reviews from users: 41866
Ratings
- Top rated: 4.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공무원연금[퇴직급여] 청구. 5. 한국교직원공제회 장기저축급여 청구. 6. 교원단체총연합회 회원 위로금 청구. ▢ 정년(명예)퇴직 후. 1. 신분증 발급. 2. 명예교수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공무원연금[퇴직급여] 청구. 5. 한국교직원공제회 장기저축급여 청구. 6. 교원단체총연합회 회원 위로금 청구. ▢ 정년(명예)퇴직 후. 1. 신분증 발급. 2. 명예교수 …
- Table of Contents: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 809 tips update new.
[MT리포트] 누릴 거 다 누리고… 대학 교수=왕?
━
[MT리포트]사흘에 한번꼴로 교수갑질 제보…가장 많은 갑질은? ━시민단체 대학원생119, 5개월 동안 접수된 갑질 사례 125건…전문가들 “교육당국 감독 강화해야”
일부 몰지각한 교수들은 대학원생들에게 자신의 집 이사나 짐심부름까지 시키는 등 ‘갑질’을 하는 사례도 발견되고 있다. 이는 교수가 되기 위해서는 ‘라인’을 잘 타야 하는 한국 대학의 채용 시스템과, 한번 정교수가 되면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한 신분이 보장되는 한국 대학 사회의 고질적 병폐에 기인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삽화=김현정 디자인 기자
#1.대학원생 A씨는 매일 차를 끌고 지도교수 자녀의 유치원으로 간다. 지도교수가 자녀의 운전기사 역할을 요구한 탓이다. 가끔은 교수의 요구로 자녀의 숙제를 봐주기도 한다. 운전기사, 교사 업무를 해도 대가는 없다. A씨는 “무사히 졸업하려면 지도교수의 요구에 불만이 있더라도 응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2.대학원생 B씨의 지도교수는 본인 명의의 인터넷 기사를 B씨에게 쓰라고 시켰다. 이사회에 제출할 본인의 자기소개서와 이력서 작성을 시키기도 했다. B씨는 “다음 수업 평가 때 영향이 있을 것 같은 어조로 부탁을 해 싫은 티를 낼 수 없었다”고 말했다.
대학원생들이 2~3일에 1번꼴로 지도교수 ‘갑질’에 고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갑질을 한 교수 10명 가운데 1명은 연구비와 학생 장학금을 가로챘다는 조사결과다. 학생들은 부당함을 알아도 논문 심사나 졸업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교수나 학교 측에 문제제기를 하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일부 몰지각한 교수들의 이 같은 행태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일단 정교수(Tenure: 종신재직권)가 되면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한 외국과 달리 최소 65세까지는 철저한 신분보장이 뒤따르는 ‘신의 직장’이기 때문이다.
6일 교수 갑질 근절을 위한 시민단체 ‘대학원생119’에 따르면 올해 1월7일부터 지난 5일까지 최근 5개월 동안 접수받은 ‘교수 갑질’ 제보는 61차례, 125건에 달한다.
올해 1월7일 출범한 대학원생119는 교수의 갑질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대학원생들을 상대로 법률 상담을 제공하는 시민단체다. 네이버 밴드를 통해 실명 가입신청을 받은 학생들에게 제보를 받는다. 이날 기준 대학원생119 밴드에 가입한 대학원생 수는 288명이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접수된 갑질 사례 중 연구비 횡령과 연구성과 가로채기, 금품요구 등 비위 문제가 전체의 30%를 차지했다. 구체적 사례로는 연구비 횡령·페이백이 18건(14.4%)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부정·연구저작권강탈 13건(10.4%), 금품요구 7건(5.6%) 등이 뒤를 이었다.
페이백은 ‘랩장’이라고 불리는 연구실 반장이 연구실 대학원생들에게 통장과 비밀번호를 받아 장학금이나 인건비를 모은 뒤 교수에게 제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페이백을 당한 대학원생 C씨는 “연구실에서 국가기관이나 기업에서 발주한 연구에 참여하면 나오는 인건비는 다시 교수에게 돌아간다”며 “선배들이 다 이렇게 하고 졸업했다고 말하니까 어쩔 수 없이 통장과 비밀번호를 제출했다”고 하소연했다.
C씨는 “교수가 프로젝트를 따오는 것이고, 연구가 학생 개인의 논문 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기부 명목으로 돌려달라는 것”이라며 “쉽게 납득하기 힘든 관행이지만 졸업 때문에 참아야 했다”고 말했다.
금품이나 연구성과 갈취 외 직접 대학원생을 괴롭힌 사례도 있다. 괴롭힘 사례는 △폭언·폭행 16건 △논문투고 방해·졸업지연 15건 △(단순) 괴롭힘 9건 △성폭력·성희롱 7건 △업무배제 7건 △따돌림 4건 △지도교수 변경거부 3건 등으로 나타났다.
노동착취 역시 △무급노동 9건 △사적업무지시 7건 △일방적 해고 3건 △장시간근무 3건 △체불임금 2건 △최저임금 미달 2건 등 제보가 접수됐다.
대학원생119를 운영하는 직장갑질119의 최혜인 노무사는 “학위를 받을 때까지 교수의 지도를 받아야하는 약점을 이용해 교수들이 왕처럼 군림한다”며 “갑질 대다수가 법적 입증이 어려워서 문제가 계속 반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교수사회의 갑질과 비리를 없애기 위해선 교육당국이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대학원생119 측은 “연구비 갈취, 자녀숙제 대필 등 교수 갑질이 최소 15년 이상 계속됐지만 학교와 당국은 이를 방치해왔다”며 “대학원생 신원을 보호하면서 익명 제보를 받고 기습 감사, 무기명 설문조사 등을 벌여 갑질·비위 문제를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노무사도 “교수와 대학원생의 권력관계를 잘 아는 교육당국이 나서서 학교에서 자정작용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며 “대학교의 연구윤리위원회를 투명하게 운영하고 감독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민 기자, 김지성 기자
━
[MT리포트]’연구비↑ 논문↓’ 교수 1인당 연간논문 ‘0.92건’━
‘대한민국 특권층’이라 불리는 대학 교수들. 그들의 ‘본업’인 연구 실적은 어떨까. 한국연구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4년제 전임교원들의 논문 게재 건수는 수년째 평행선을 달리며 1년에 1건도 게재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술발표 실적은 지속적으로 하락, 0.079건에 머물렀다.
교수들이 학자의 본업인 연구나 발견과 멀어지면서 국내 대학 연구의 질도 추락하는 모양새다. 논문의 질을 기반으로 대학을 평가하는 ‘레이던 랭킹'(Leiden Ranking)에서 국내 대학들의 순위는 1년에도 수십 계단씩 떨어지고 있다.
6일 한국연구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4년제 대학 전임교원의 논문 게재건수는 6만8098건. 1인당 논문 수는 0.92건에 그쳤다. 1년에 1개의 논문도 게재하지 않는 셈이다.
4년제 대학 전임교원들의 논문 게재건수는 2013년 6만6912건에서 2015년 7만704건까지 늘어났다. 그러나 이듬해부터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인당 논문 수도 2013년 0.92건에서 2015년 0.96건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다시 감소하는 모습이다.
반면 최근 5년간 4년제 대학의 연구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17년 기준 연구비는 10조 2907억원. 2013년 대비 16.7% 늘어났다.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는 같은 기간 7001만원에서 8010만원으로 증가했다. 연구비 등 지원은 늘어났는데, 논문 건수는 제자리걸음을 한 셈이다.
저술발표 실적은 2017년 기준 1인당 0.079건으로 더 낮았다. 저술발표실적이란 전임교원이 학술적 가치가 있는 책의 저서와 역서 등의 저술 업적과 발표 실적 등을 종합한 수치다. 국내 교수들이 학자로서 연구나 새로운 발견과는 점점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학계를 이끌어가야 할 교수들이 학문과 멀어지면서 국내 대학의 연구 질도 떨어지는 모양새다. 논문의 수와 논문인용도의 비율을 따져 대학을 평가하는 네덜란드의 ‘레이던 랭킹’에서 2019년 ‘전체 논문 중 피인용 수 상위 10% 논문의 비율’ 기준 100위권 안에 든 대학은 68위의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유일했다.
이마저도 지난해 대비 23계단 떨어진 순위다. 뒤이어 포항공대 287위, 한국과학기술원(KAIST) 350위 등이었다.
이해인 기자
━
전임 교수 초임 1억 대학교수 특전은?
━
대한민국 전임교수 그들은 누구
“정규직 교수는 사실상 ‘1인 기업 최고경영자'(CEO)입니다. 사회적 존경과 신뢰 등 무형의 가치를 가질 뿐만 아니라 안정적 보수, 고액의 연금 등은 덤이죠. 인사와 관련해 주변의 눈치를 볼 필요도 없습니다.”
교육계 한 관계자의 말이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대학교수가 차지하는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엘리트층이나 오피니언 리더로도 불린다. 서울 주요대 전임교수의 경우 모두 정부부처 장·차관급이라는 말이 회자된 지 이미 오래다. 실제로 새 정부가 들어서 조각을 하거나 임기 중 개각을 할 때 학자로 분류되는 이들은 입각 대상에 이름이 오르내린다. 입각하지 않더라도 정치권 외곽의 정책자문 그룹에 포진해 있으면서 영향력을 행사한다.
◇대학 전임교수는 누구
6일 교육부에 따르면 올 4월1일 기준 국내 고등교육기관(대학)에 소속된 전임교수 모두 9만288명이다. 10년 전인 2008년(7만3072명)보다 23.6% 증가했다.
이 가운데 4년제 일반대학만 놓고 보면 2008년 전임교수가 5만4331명에서 2018년 6만6863명으로 23.1% 증가했다. 대학가에서는 현재 전임교수의 주류가 ’86세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와 미국 유학 출신들로 구성돼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학교수는 크게 전임과 비전임으로 구분된다. 전임교수는 또 정교수와 부교수, 조교수로 나뉜다. 시간강사를 거쳐 조교수가 되면 뒤 5~6년 정도 지나 심사절차를 밟아 부교수 지위를 얻는다. 다시 5~6년 이후 심사를 통해 정교수 자리에 오른다.
전임교수는 정년과 비정년 트랙으로 나누기도 한다. 학교마다 차이가 있지만 정년 트랙은 임용 뒤 정년(만 65세) 때까지 신분을 보장받는다. 그러나 비정년 트랙은 2년마다 계약을 갱신해야 한다. 전임을 제외한 겸임·초빙교수, 시간강사가 모두 비전임 교수에 해당한다.
통상 대학교수는 조교수 이상 전임을 일컫는다. 학교마다 다르지만 박사학위를 받고 시간강사를 거쳐 조교수 자리를 꿰차는데 10년 정도 걸린다. 교육계 관계자는 “시간강사로 3~4년을 일했을 경우 30대 중후반에서 40대 초반쯤 조교수로 임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학 전임교수 특전은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진 시대에 정년보장과 연금지급은 큰 이점이다. 국공립대 전임교수는 공무원과 유사한 성과급제연봉제가 적용된다. 전임교수 초임은 박사학위와 시간강사 경력을 환산해 봉급표상 최초 10~12호봉 기준으로 정근·명절수당 등을 포함해 월지급액이 정해진다.
금액 기준으로 월 350만~400만원선이라는 게 대학 내부 얘기다. 임용 2년 차부터는 기본연봉에 성과연봉(최고 420만원)과 봉급인상률이 반영돼 급여가 정해진다.
인사혁신처 봉급표에 따르면 국공립대 교수 10호봉 월지급액은 약 270만원이며 12호봉은 약 292만원이다. 이는 국공립 유치원·초중등 교사(10~12호봉) 월지급액 205만~216만원보다 많고 정부부처 5급사무관 4~6호봉과 비슷한 수준이다.
사립대의 경우 전임교수 초임은 대학 정관(학칙)에 따르지만 국공립대 전임교수 봉급표를 참고하기 때문에 결코 낮은 수준은 아니다. 서울 소재 A대 등 일부 대학의 경우 전임교수 초임연봉이 1억~1억5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금도 만만찮다. 국공립대 교수는 일반공무원처럼 공무원연금 수혜 대상이고 사립대학 교수는 사학연금을 받는다. 연금이 고갈되면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에 따라 국가가 그 부족액을 채워준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공무원연금 수급자 49만5052명 가운데 12만3498명(25%)과 사학연금 수급자 7만9868명 가운데 3만8320명(48%)이 월 300만원 이상의 연금을 받는다”며 “월 300만원 이상의 연금을 받는 국민연금 수급자가 한명도 없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고 설명했다.
◇ “학부생·대학원생에 영향력 막강”
전임교수의 특전은 또 있다. 방학과 6~7년마다 돌아오는 ‘안식년’이다. 안식년 주기는 학교마다 차이가 있다. 주당 수업시수도 많지 않다.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명시된 대학 교원의 주당 수업시수는 9시간이 원칙이다. 대학마다 다르지만 전임교수들에게는 연간 2000만원 안팎의 연구비가 지원되기도 한다.
전임교수 개인 역량에 따라 정부기관·민간기업과 교류를 통해 정책연구비를 따낼 수도 있다. 개인 연구실과 실험실 제공은 기본이다. 정당 가입도 자유롭고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성적·학위와 관련해 전임교수들은 대학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교육계에서는 전임교수들에 대한 과도한 자율성 보장과 정부·대학의 통제·간섭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각종 연구윤리 위반이나 비위가 발생하고 있다며 교수사회의 자정노력도 중요하지만 이들에 대한 적절한 제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은다.
특히 학생들에 대한 부당한 노동력 착취, 막말과 성비위, 편파적인 성적과 장학금 부여를 통한 복종 강요 등 교수들의 갑질을 없애기 위해선 교수-제자 간 ‘도제 관계’를 끊을 수 있는 특단의 대책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한다.
김용석 한국사립대교수회연합회(사교련) 이사장(한국기술교육대 교수)은 “사회 지식인으로서 교수들 스스로 권위주의에서 탈피하고 윤리를 자각해야 한다”며 “교육부도 이른바 메이저 대학들에 대한 상시 종합감사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문영재 기자
━
최고 부업 ‘사외이사’…4대그룹 장악한 교수들
━
사외이사 제도가 생긴 이래 교수 최고의 부업은 사외이사다. 겸직이 가능한 데다 1년에 몇 차례 열리지 않는 이사회에 참석하는 대가로 수천만 원에 달하는 보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대 2개 기업에서 동시에 사외이사 직무 수행이 가능해 1억원이 넘는 부수입이 가능하다.
하지만 교수들의 사외이사 겸직 논란은 끊이질 않고 있다. 2000년대 초반, 국가공무원법 64조와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25조는 공무원이 공무 이외에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지 못한다고 규정했다. 사립학교법 55조는 국공립학교 규정을 준용한다고 돼 있었다. 자연스레 교수의 사외이사 겸직 법 위반 논란이 일었다.
당시 수백 명의 교수들이 기업 사외이사로 재직하고 있었고, 이에 일부 교수들은 사외이사에서 물러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다 2003년 교육공무원법이 개정되며 법적으로 대학교수의 사외이사 겸직이 가능해졌다. 다만 업체로부터 받은 보수 일체를 소속 학교장에게 보고해야 한다. 이 법률을 근거로 현재 다수의 교수들이 사외이사로 진출했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최고경영자)스코어’가 2018년 57개 대기업집단 소속 상장 계열사 267곳 사외이사 859명의 출신 이력을 조사한 결과, 학계 출신은 282명(32.8%)에 달했다. 관료 출신 (37.4%) 다음으로 많은 숫자다.
또 본지가 삼성, 현대차, SK, LG그룹의 20개 핵심 계열사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올 1분기 분기보고서(지난 3월 말 기준)를 전수조사한 결과 각 사의 주주총회를 거쳐 선임한 사외이사는 총 94명이며, 이 중 현직 교수이거나 교수 출신은 52명(55.3%)에 달했다.
사외이사 비중이 가장 큰 그룹은 삼성이었다. (52,300원 ▼300 -0.57%) ·물산·SDI·SDS·바이오로직스 5개사의 사외이사 22명 중 무려 16명(72.7%)이 교수군으로 확인됐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는 총 6명으로 구성된 사외이사진 중 4명을 박재완 성균관대 행정학과 교수와 김선옥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박병국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안규리 서울대 의대(신장내과) 교수 등으로 채웠다. 삼성물산도 사외이사 5명 중 4명이 교수였다.
LG그룹은 지주사인 ㈜LG를 포함해 (78,600원 ▲600 +0.77%) ·화학·디스플레이·유플러스 5개사의 사외이사 20명 중 12명(60.0%)이, SK그룹도 지주사 SK㈜를 비롯해 (82,900원 ▲2,100 +2.60%) ·이노베이션·텔레콤·네트웍스 5개사의 사외이사 26명 중 14명(53.9%)이 교수군이었다.
4대 그룹 중 유일하게 현대차만 교수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절반 이하(38.5%)였다. 특히 정의선 부회장이 그룹 전면에 나서며 이사회 구성에 변화를 주기 시작한 현대차는 사외이사 6명 중 1명(이상승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만 교수로 앉혔다.
대신 국제금융계에서 가장 성공한 한국인으로 평가받는 윤치원 UBS 그룹 자산관리부문 부회장과 세계 3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미국 캐피탈그룹에서 25년간 근무한 유진 오 전(前) 캐피탈그룹 인터내셔널 파트너 등 글로벌 전문가들을 영입했다.
사외이사진 5명 중 교수 출신이 2명인 (194,000원 ▼3,500 -1.77%) 도 창사 이래 처음으로 미래차 부문 기술전략 분야와 투자 재무분야를 담당할 외국인 2명을 사외이사로 선임해 눈길을 끌었다.
교수 출신 사외이사 가운데 삼성전자의 박재완 교수, 삼성물산의 권재철 수원대 고용서비대학원 석좌교수, LG전자의 백용호 이화여대 정책과학대학원 교수, 김문수 울시립대 세무전문대학원 겸임교수 등은 각각 기획재정부 장관, 청와대 노동비서관, 공정거래위원장(국세청장), 국세청 차장 등 권력기관 고위 관료로 재직하다 학교로 옮긴 사례다.
교수가 사외이사로 인기가 높은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사외이사 본래 취지에 맞게 경영활동에서 전문성있는 조언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경영학과, 법학과 교수들이 사외이사에 다수 포진한 것은 이같은 이유다. 여기에 교수들이 정부 위원회나 학회 등에 참석하는 경우가 많아 향후 정책 방향을 미리 알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들은 표면적으로 교수들의 전문성을 내세우고 있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정부 정책 변화나 규제 등에 대응하는 대관(對官) 업무에 필요한 경우가 많다”며 “대부분의 교수들이 장·차관 등 고위관료를 지내거나 정부가 운영하는 각종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공직자 윤리법 시행으로 전관들의 사외이사 진출이 어려워진 것도 교수 선호도를 높였다. 공직자 윤리법은 퇴직공직자의 경우 퇴직일부터 3년간 퇴직 전 5년 동안 소속됐던 부서 또는 기관의 업무와 관련이 있는 기업 사외이사로 갈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최근엔 권력기관 출신 인사나 전관예우 법조인 등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거세지면서 교수 출신 사외이사에 대한 선호 경향이 더 강해지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그러나 교수의 사외이사 진출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우선 교수의 사외이사 겸직으로 인해 외부활동에 신경쓰면서 교육과 연구라는 본연의 업무에 소홀해 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사외이사 본연의 업무인 경영활동에 조언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을 해당 기업 연구에 투자해야해 겸직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2000년대 초부터 꾸준히 제기됐다.
독립성 확보 역시 쉽지 않다. 사외이사로 있는 교수들이 대학과 기업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기업 입장과 반대되는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해 박재완 성균관대 교수가 삼성전자 사외이사로 재선임될 때 국내 의결권 자문사 서스틴베스트는 “독립적인 직무수행이 어렵다고 판단한다”고 반대를 권고했다.
서스틴베스트는 당시 “성균관대학교 및 성균관대학교 산합협력단은 삼성그룹 소속 공익법인으로 분류된다”며 “삼성그룹과 성균관대학교는 특수관계에 있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전문 영역에 대한 식견을 통해 기업의 성장을 돕고, 투명한 이사회 운영으로 책임경영을 강화하는데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석환 기자, 기성훈 기자, 안정준 기자, 이태성 기자
━
[MT리포트]’폴리페서 방지법’ 사각지대 놓인 장관들━
지난해 10월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릴 예정이던 환경노동위원회의 조명래 환경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파행되자 바른미래당 김동철, 자유한국당 이장우 등 야당 위원들이 퇴장하고 있다. 이날 인사청문회는 조 후보자의 자료 미제출 건으로 김학용 위원장과 야당 위원들의 반발로 시작도 하지 못한채 정회됐다. / 사진=이동훈 기자
국회는 선거 때마다 반복되는 ‘폴리페서’ 논란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국회의원의 교수 겸직을 원천 제한했다. 법까지 뜯어고쳤지만 논란은 여전하다. 불씨는 교수직을 휴직 상태로 유지하는 국무위원들에게 옮겨 붙었다. 여야는 국무위원의 과거 정치적 행보를 두고 각각 ‘표현의 자유’, ‘정치 중립성 위반’이라며 소모적 논쟁을 반복한다.
국회법 제 29조에 따르면 국회의원은 원칙적으로 다른 직을 겸할 수 없다고 명시돼있다. △국무위원 △공익 목적의 명예직 △다른 법에서 의원이 임명·위촉되도록 정한 직 △정당직 등은 예외다. 여·야가 2013년 7월 본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국회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또 국회의장이 의원들의 겸직 내용을 국회 공보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해야 한다. 겸직에 따른 보수 수령은 원천적으로 금지했다. 이에 국회 입성에 도전하는 교수들은 임기개시일 전까지 교수직을 내려놔야 한다.
이같은 법 개정은 정치쇄신을 요구하는 국민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서 추진됐다. 당시 여야는 별도 금지 규정 없이 의원의 겸직이 포괄적으로 허용되면서 과도한 특혜로 비춰진다고 입을 모았다. 법 개정으로, 안정된 생활을 포기하고 정치에 헌신하려는 교수들에게 기회가 주어진다는 평이 나왔다.
실제 20대 총선 당시 정치에 도전하는 교수들은 줄었다.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20대 총선 당시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4개 정당이 공천한 후보(비례대표 포함)들을 분석한 결과, 전·현직 국회의원과 법조인, 지방자치단체장 출신을 제외한 ‘정치신인’ 교수는 총 58명으로 집계됐다. 주요 4개 정당 후보의 7.1%에 해당하는 것으로 19대 총선 대비 1.3% 포인트(p) 감소했다.
폴리페서의 국회 입성 제한을 강화하는 정치권의 노력은 이어졌다.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4월 대학 총장과 학장, 교수, 부교수 등이 공직선거에 입후보하기 위해 90일 전 사퇴하도록 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문제는 교수 출신 국무위원이다. 현행 교육공무원법 44조는 교수들이 공무원으로 임용되면 교직을 휴직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겸직을 허용한다. 이 기간 학문적 중립성이 훼손되고 학생들의 수업권 역시 보호받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장우 자유한국당 의원이 2017년 7월 교수가 국무위원 등 정무직공무원으로 임용될 경우 휴직을 금지하는 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나 현재 해당 상임위원회인 교육위원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국무위원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여·야 갈등이 반복되는 배경이기도 하다. 야당 의원들은 교수 출신 국무위원들이 다시 강단에 설 경우를 고려해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강도 높은 공세를 이어간다. 반면 여당 의원들은 과도한 ‘재갈물리기’라며 표현의 자유가 위축될 가능성을 우려한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대표적이다. 임이자 한국당 의원은 지난해 10월 당시 조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 “SNS에 2012년 민주당 대선자문위원을 맡았다고 본인이 썼고, 이해찬 의원 선대본부도 참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후보자가 (박원순) 지지 참여 없다고 했는데 지지명단에 이름이 올랐다”며 “박 시장의 조직인 희망새물결 상임위원도 했는데 지지한 것 아닌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한정애 민주당 의원은 “선거 기간 관계없는 정치적 현안에 대한 자기 의사표명은 가능하다”며 “공직선거 기간 중 정치적 중립은 엄격하게 관리된다”고 말했다. 이어 “(물어서) 의사표현을 한 것이 ‘왜 했냐’고 돌아온다고 하면 표현의 자유, 학문과 관련된 것을 표현 못하게 하는 재갈물리기가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원광 기자 시민단체 대학원생119, 5개월 동안 접수된 갑질 사례 125건…전문가들 “교육당국 감독 강화해야”대학원생 A씨는 매일 차를 끌고 지도교수 자녀의 유치원으로 간다. 지도교수가 자녀의 운전기사 역할을 요구한 탓이다. 가끔은 교수의 요구로 자녀의 숙제를 봐주기도 한다. 운전기사, 교사 업무를 해도 대가는 없다. A씨는 “무사히 졸업하려면 지도교수의 요구에 불만이 있더라도 응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대학원생 B씨의 지도교수는 본인 명의의 인터넷 기사를 B씨에게 쓰라고 시켰다. 이사회에 제출할 본인의 자기소개서와 이력서 작성을 시키기도 했다. B씨는 “다음 수업 평가 때 영향이 있을 것 같은 어조로 부탁을 해 싫은 티를 낼 수 없었다”고 말했다.대학원생들이 2~3일에 1번꼴로 지도교수 ‘갑질’에 고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갑질을 한 교수 10명 가운데 1명은 연구비와 학생 장학금을 가로챘다는 조사결과다. 학생들은 부당함을 알아도 논문 심사나 졸업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교수나 학교 측에 문제제기를 하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일부 몰지각한 교수들의 이 같은 행태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일단 정교수(Tenure: 종신재직권)가 되면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한 외국과 달리 최소 65세까지는 철저한 신분보장이 뒤따르는 ‘신의 직장’이기 때문이다.6일 교수 갑질 근절을 위한 시민단체 ‘대학원생119’에 따르면 올해 1월7일부터 지난 5일까지 최근 5개월 동안 접수받은 ‘교수 갑질’ 제보는 61차례, 125건에 달한다.올해 1월7일 출범한 대학원생119는 교수의 갑질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대학원생들을 상대로 법률 상담을 제공하는 시민단체다. 네이버 밴드를 통해 실명 가입신청을 받은 학생들에게 제보를 받는다. 이날 기준 대학원생119 밴드에 가입한 대학원생 수는 288명이다.유형별로 살펴보면 접수된 갑질 사례 중 연구비 횡령과 연구성과 가로채기, 금품요구 등 비위 문제가 전체의 30%를 차지했다. 구체적 사례로는 연구비 횡령·페이백이 18건(14.4%)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부정·연구저작권강탈 13건(10.4%), 금품요구 7건(5.6%) 등이 뒤를 이었다.페이백은 ‘랩장’이라고 불리는 연구실 반장이 연구실 대학원생들에게 통장과 비밀번호를 받아 장학금이나 인건비를 모은 뒤 교수에게 제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페이백을 당한 대학원생 C씨는 “연구실에서 국가기관이나 기업에서 발주한 연구에 참여하면 나오는 인건비는 다시 교수에게 돌아간다”며 “선배들이 다 이렇게 하고 졸업했다고 말하니까 어쩔 수 없이 통장과 비밀번호를 제출했다”고 하소연했다.C씨는 “교수가 프로젝트를 따오는 것이고, 연구가 학생 개인의 논문 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기부 명목으로 돌려달라는 것”이라며 “쉽게 납득하기 힘든 관행이지만 졸업 때문에 참아야 했다”고 말했다.금품이나 연구성과 갈취 외 직접 대학원생을 괴롭힌 사례도 있다. 괴롭힘 사례는 △폭언·폭행 16건 △논문투고 방해·졸업지연 15건 △(단순) 괴롭힘 9건 △성폭력·성희롱 7건 △업무배제 7건 △따돌림 4건 △지도교수 변경거부 3건 등으로 나타났다.노동착취 역시 △무급노동 9건 △사적업무지시 7건 △일방적 해고 3건 △장시간근무 3건 △체불임금 2건 △최저임금 미달 2건 등 제보가 접수됐다.대학원생119를 운영하는 직장갑질119의 최혜인 노무사는 “학위를 받을 때까지 교수의 지도를 받아야하는 약점을 이용해 교수들이 왕처럼 군림한다”며 “갑질 대다수가 법적 입증이 어려워서 문제가 계속 반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전문가들은 교수사회의 갑질과 비리를 없애기 위해선 교육당국이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대학원생119 측은 “연구비 갈취, 자녀숙제 대필 등 교수 갑질이 최소 15년 이상 계속됐지만 학교와 당국은 이를 방치해왔다”며 “대학원생 신원을 보호하면서 익명 제보를 받고 기습 감사, 무기명 설문조사 등을 벌여 갑질·비위 문제를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최 노무사도 “교수와 대학원생의 권력관계를 잘 아는 교육당국이 나서서 학교에서 자정작용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며 “대학교의 연구윤리위원회를 투명하게 운영하고 감독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영민 기자, 김지성 기자연구비 늘어나는 데 논문 수는 제자리 걸음…’연구질 가늠’ 레이던 랭킹도 추락세’대한민국 특권층’이라 불리는 대학 교수들. 그들의 ‘본업’인 연구 실적은 어떨까. 한국연구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4년제 전임교원들의 논문 게재 건수는 수년째 평행선을 달리며 1년에 1건도 게재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술발표 실적은 지속적으로 하락, 0.079건에 머물렀다.교수들이 학자의 본업인 연구나 발견과 멀어지면서 국내 대학 연구의 질도 추락하는 모양새다. 논문의 질을 기반으로 대학을 평가하는 ‘레이던 랭킹'(Leiden Ranking)에서 국내 대학들의 순위는 1년에도 수십 계단씩 떨어지고 있다.6일 한국연구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4년제 대학 전임교원의 논문 게재건수는 6만8098건. 1인당 논문 수는 0.92건에 그쳤다. 1년에 1개의 논문도 게재하지 않는 셈이다.4년제 대학 전임교원들의 논문 게재건수는 2013년 6만6912건에서 2015년 7만704건까지 늘어났다. 그러나 이듬해부터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인당 논문 수도 2013년 0.92건에서 2015년 0.96건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다시 감소하는 모습이다.반면 최근 5년간 4년제 대학의 연구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17년 기준 연구비는 10조 2907억원. 2013년 대비 16.7% 늘어났다.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는 같은 기간 7001만원에서 8010만원으로 증가했다. 연구비 등 지원은 늘어났는데, 논문 건수는 제자리걸음을 한 셈이다.저술발표 실적은 2017년 기준 1인당 0.079건으로 더 낮았다. 저술발표실적이란 전임교원이 학술적 가치가 있는 책의 저서와 역서 등의 저술 업적과 발표 실적 등을 종합한 수치다. 국내 교수들이 학자로서 연구나 새로운 발견과는 점점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학계를 이끌어가야 할 교수들이 학문과 멀어지면서 국내 대학의 연구 질도 떨어지는 모양새다. 논문의 수와 논문인용도의 비율을 따져 대학을 평가하는 네덜란드의 ‘레이던 랭킹’에서 2019년 ‘전체 논문 중 피인용 수 상위 10% 논문의 비율’ 기준 100위권 안에 든 대학은 68위의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유일했다.이마저도 지난해 대비 23계단 떨어진 순위다. 뒤이어 포항공대 287위, 한국과학기술원(KAIST) 350위 등이었다.이해인 기자대한민국 전임교수 그들은 누구”정규직 교수는 사실상 ‘1인 기업 최고경영자'(CEO)입니다. 사회적 존경과 신뢰 등 무형의 가치를 가질 뿐만 아니라 안정적 보수, 고액의 연금 등은 덤이죠. 인사와 관련해 주변의 눈치를 볼 필요도 없습니다.”교육계 한 관계자의 말이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대학교수가 차지하는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엘리트층이나 오피니언 리더로도 불린다. 서울 주요대 전임교수의 경우 모두 정부부처 장·차관급이라는 말이 회자된 지 이미 오래다. 실제로 새 정부가 들어서 조각을 하거나 임기 중 개각을 할 때 학자로 분류되는 이들은 입각 대상에 이름이 오르내린다. 입각하지 않더라도 정치권 외곽의 정책자문 그룹에 포진해 있으면서 영향력을 행사한다.6일 교육부에 따르면 올 4월1일 기준 국내 고등교육기관(대학)에 소속된 전임교수 모두 9만288명이다. 10년 전인 2008년(7만3072명)보다 23.6% 증가했다.이 가운데 4년제 일반대학만 놓고 보면 2008년 전임교수가 5만4331명에서 2018년 6만6863명으로 23.1% 증가했다. 대학가에서는 현재 전임교수의 주류가 ’86세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와 미국 유학 출신들로 구성돼 있다고 알려져 있다.대학교수는 크게 전임과 비전임으로 구분된다. 전임교수는 또 정교수와 부교수, 조교수로 나뉜다. 시간강사를 거쳐 조교수가 되면 뒤 5~6년 정도 지나 심사절차를 밟아 부교수 지위를 얻는다. 다시 5~6년 이후 심사를 통해 정교수 자리에 오른다.전임교수는 정년과 비정년 트랙으로 나누기도 한다. 학교마다 차이가 있지만 정년 트랙은 임용 뒤 정년(만 65세) 때까지 신분을 보장받는다. 그러나 비정년 트랙은 2년마다 계약을 갱신해야 한다. 전임을 제외한 겸임·초빙교수, 시간강사가 모두 비전임 교수에 해당한다.통상 대학교수는 조교수 이상 전임을 일컫는다. 학교마다 다르지만 박사학위를 받고 시간강사를 거쳐 조교수 자리를 꿰차는데 10년 정도 걸린다. 교육계 관계자는 “시간강사로 3~4년을 일했을 경우 30대 중후반에서 40대 초반쯤 조교수로 임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진 시대에 정년보장과 연금지급은 큰 이점이다. 국공립대 전임교수는 공무원과 유사한 성과급제연봉제가 적용된다. 전임교수 초임은 박사학위와 시간강사 경력을 환산해 봉급표상 최초 10~12호봉 기준으로 정근·명절수당 등을 포함해 월지급액이 정해진다.금액 기준으로 월 350만~400만원선이라는 게 대학 내부 얘기다. 임용 2년 차부터는 기본연봉에 성과연봉(최고 420만원)과 봉급인상률이 반영돼 급여가 정해진다.인사혁신처 봉급표에 따르면 국공립대 교수 10호봉 월지급액은 약 270만원이며 12호봉은 약 292만원이다. 이는 국공립 유치원·초중등 교사(10~12호봉) 월지급액 205만~216만원보다 많고 정부부처 5급사무관 4~6호봉과 비슷한 수준이다.사립대의 경우 전임교수 초임은 대학 정관(학칙)에 따르지만 국공립대 전임교수 봉급표를 참고하기 때문에 결코 낮은 수준은 아니다. 서울 소재 A대 등 일부 대학의 경우 전임교수 초임연봉이 1억~1억5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연금도 만만찮다. 국공립대 교수는 일반공무원처럼 공무원연금 수혜 대상이고 사립대학 교수는 사학연금을 받는다. 연금이 고갈되면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에 따라 국가가 그 부족액을 채워준다.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공무원연금 수급자 49만5052명 가운데 12만3498명(25%)과 사학연금 수급자 7만9868명 가운데 3만8320명(48%)이 월 300만원 이상의 연금을 받는다”며 “월 300만원 이상의 연금을 받는 국민연금 수급자가 한명도 없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고 설명했다.전임교수의 특전은 또 있다. 방학과 6~7년마다 돌아오는 ‘안식년’이다. 안식년 주기는 학교마다 차이가 있다. 주당 수업시수도 많지 않다.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명시된 대학 교원의 주당 수업시수는 9시간이 원칙이다. 대학마다 다르지만 전임교수들에게는 연간 2000만원 안팎의 연구비가 지원되기도 한다.전임교수 개인 역량에 따라 정부기관·민간기업과 교류를 통해 정책연구비를 따낼 수도 있다. 개인 연구실과 실험실 제공은 기본이다. 정당 가입도 자유롭고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성적·학위와 관련해 전임교수들은 대학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기도 한다.교육계에서는 전임교수들에 대한 과도한 자율성 보장과 정부·대학의 통제·간섭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각종 연구윤리 위반이나 비위가 발생하고 있다며 교수사회의 자정노력도 중요하지만 이들에 대한 적절한 제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은다.특히 학생들에 대한 부당한 노동력 착취, 막말과 성비위, 편파적인 성적과 장학금 부여를 통한 복종 강요 등 교수들의 갑질을 없애기 위해선 교수-제자 간 ‘도제 관계’를 끊을 수 있는 특단의 대책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한다.김용석 한국사립대교수회연합회(사교련) 이사장(한국기술교육대 교수)은 “사회 지식인으로서 교수들 스스로 권위주의에서 탈피하고 윤리를 자각해야 한다”며 “교육부도 이른바 메이저 대학들에 대한 상시 종합감사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문영재 기자상장사 267곳 32.8%, 20개 핵심 계열사 55.3% 차지…권력기관·법조 인사 부정적 시각에 선호 경향↑사외이사 제도가 생긴 이래 교수 최고의 부업은 사외이사다. 겸직이 가능한 데다 1년에 몇 차례 열리지 않는 이사회에 참석하는 대가로 수천만 원에 달하는 보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대 2개 기업에서 동시에 사외이사 직무 수행이 가능해 1억원이 넘는 부수입이 가능하다.하지만 교수들의 사외이사 겸직 논란은 끊이질 않고 있다. 2000년대 초반, 국가공무원법 64조와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25조는 공무원이 공무 이외에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지 못한다고 규정했다. 사립학교법 55조는 국공립학교 규정을 준용한다고 돼 있었다. 자연스레 교수의 사외이사 겸직 법 위반 논란이 일었다.당시 수백 명의 교수들이 기업 사외이사로 재직하고 있었고, 이에 일부 교수들은 사외이사에서 물러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다 2003년 교육공무원법이 개정되며 법적으로 대학교수의 사외이사 겸직이 가능해졌다. 다만 업체로부터 받은 보수 일체를 소속 학교장에게 보고해야 한다. 이 법률을 근거로 현재 다수의 교수들이 사외이사로 진출했다.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최고경영자)스코어’가 2018년 57개 대기업집단 소속 상장 계열사 267곳 사외이사 859명의 출신 이력을 조사한 결과, 학계 출신은 282명(32.8%)에 달했다. 관료 출신 (37.4%) 다음으로 많은 숫자다.또 본지가 삼성, 현대차, SK, LG그룹의 20개 핵심 계열사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올 1분기 분기보고서(지난 3월 말 기준)를 전수조사한 결과 각 사의 주주총회를 거쳐 선임한 사외이사는 총 94명이며, 이 중 현직 교수이거나 교수 출신은 52명(55.3%)에 달했다.사외이사 비중이 가장 큰 그룹은 삼성이었다. 삼성전자 ·물산·SDI·SDS·바이오로직스 5개사의 사외이사 22명 중 무려 16명(72.7%)이 교수군으로 확인됐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는 총 6명으로 구성된 사외이사진 중 4명을 박재완 성균관대 행정학과 교수와 김선옥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박병국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안규리 서울대 의대(신장내과) 교수 등으로 채웠다. 삼성물산도 사외이사 5명 중 4명이 교수였다.LG그룹은 지주사인 ㈜LG를 포함해 LG전자 ·화학·디스플레이·유플러스 5개사의 사외이사 20명 중 12명(60.0%)이, SK그룹도 지주사 SK㈜를 비롯해 SK하이닉스 ·이노베이션·텔레콤·네트웍스 5개사의 사외이사 26명 중 14명(53.9%)이 교수군이었다.4대 그룹 중 유일하게 현대차만 교수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절반 이하(38.5%)였다. 특히 정의선 부회장이 그룹 전면에 나서며 이사회 구성에 변화를 주기 시작한 현대차는 사외이사 6명 중 1명(이상승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만 교수로 앉혔다.대신 국제금융계에서 가장 성공한 한국인으로 평가받는 윤치원 UBS 그룹 자산관리부문 부회장과 세계 3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미국 캐피탈그룹에서 25년간 근무한 유진 오 전(前) 캐피탈그룹 인터내셔널 파트너 등 글로벌 전문가들을 영입했다.사외이사진 5명 중 교수 출신이 2명인 현대모비스 도 창사 이래 처음으로 미래차 부문 기술전략 분야와 투자 재무분야를 담당할 외국인 2명을 사외이사로 선임해 눈길을 끌었다.교수 출신 사외이사 가운데 삼성전자의 박재완 교수, 삼성물산의 권재철 수원대 고용서비대학원 석좌교수, LG전자의 백용호 이화여대 정책과학대학원 교수, 김문수 울시립대 세무전문대학원 겸임교수 등은 각각 기획재정부 장관, 청와대 노동비서관, 공정거래위원장(국세청장), 국세청 차장 등 권력기관 고위 관료로 재직하다 학교로 옮긴 사례다.교수가 사외이사로 인기가 높은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사외이사 본래 취지에 맞게 경영활동에서 전문성있는 조언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경영학과, 법학과 교수들이 사외이사에 다수 포진한 것은 이같은 이유다. 여기에 교수들이 정부 위원회나 학회 등에 참석하는 경우가 많아 향후 정책 방향을 미리 알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재계 관계자는 “기업들은 표면적으로 교수들의 전문성을 내세우고 있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정부 정책 변화나 규제 등에 대응하는 대관(對官) 업무에 필요한 경우가 많다”며 “대부분의 교수들이 장·차관 등 고위관료를 지내거나 정부가 운영하는 각종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공직자 윤리법 시행으로 전관들의 사외이사 진출이 어려워진 것도 교수 선호도를 높였다. 공직자 윤리법은 퇴직공직자의 경우 퇴직일부터 3년간 퇴직 전 5년 동안 소속됐던 부서 또는 기관의 업무와 관련이 있는 기업 사외이사로 갈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최근엔 권력기관 출신 인사나 전관예우 법조인 등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거세지면서 교수 출신 사외이사에 대한 선호 경향이 더 강해지는 분위기”라고 전했다.그러나 교수의 사외이사 진출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우선 교수의 사외이사 겸직으로 인해 외부활동에 신경쓰면서 교육과 연구라는 본연의 업무에 소홀해 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사외이사 본연의 업무인 경영활동에 조언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을 해당 기업 연구에 투자해야해 겸직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2000년대 초부터 꾸준히 제기됐다.독립성 확보 역시 쉽지 않다. 사외이사로 있는 교수들이 대학과 기업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기업 입장과 반대되는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해 박재완 성균관대 교수가 삼성전자 사외이사로 재선임될 때 국내 의결권 자문사 서스틴베스트는 “독립적인 직무수행이 어렵다고 판단한다”고 반대를 권고했다.서스틴베스트는 당시 “성균관대학교 및 성균관대학교 산합협력단은 삼성그룹 소속 공익법인으로 분류된다”며 “삼성그룹과 성균관대학교는 특수관계에 있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전문 영역에 대한 식견을 통해 기업의 성장을 돕고, 투명한 이사회 운영으로 책임경영을 강화하는데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최석환 기자, 기성훈 기자, 안정준 기자, 이태성 기자교수, 국회의원 겸직 ‘제한’·국무위원 사실상 ‘허용’…'”정치적 발언’ 꼬집는 인사청문회 반복”국회는 선거 때마다 반복되는 ‘폴리페서’ 논란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국회의원의 교수 겸직을 원천 제한했다. 법까지 뜯어고쳤지만 논란은 여전하다. 불씨는 교수직을 휴직 상태로 유지하는 국무위원들에게 옮겨 붙었다. 여야는 국무위원의 과거 정치적 행보를 두고 각각 ‘표현의 자유’, ‘정치 중립성 위반’이라며 소모적 논쟁을 반복한다.국회법 제 29조에 따르면 국회의원은 원칙적으로 다른 직을 겸할 수 없다고 명시돼있다. △국무위원 △공익 목적의 명예직 △다른 법에서 의원이 임명·위촉되도록 정한 직 △정당직 등은 예외다. 여·야가 2013년 7월 본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국회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또 국회의장이 의원들의 겸직 내용을 국회 공보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해야 한다. 겸직에 따른 보수 수령은 원천적으로 금지했다. 이에 국회 입성에 도전하는 교수들은 임기개시일 전까지 교수직을 내려놔야 한다.이같은 법 개정은 정치쇄신을 요구하는 국민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서 추진됐다. 당시 여야는 별도 금지 규정 없이 의원의 겸직이 포괄적으로 허용되면서 과도한 특혜로 비춰진다고 입을 모았다. 법 개정으로, 안정된 생활을 포기하고 정치에 헌신하려는 교수들에게 기회가 주어진다는 평이 나왔다.실제 20대 총선 당시 정치에 도전하는 교수들은 줄었다.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20대 총선 당시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4개 정당이 공천한 후보(비례대표 포함)들을 분석한 결과, 전·현직 국회의원과 법조인, 지방자치단체장 출신을 제외한 ‘정치신인’ 교수는 총 58명으로 집계됐다. 주요 4개 정당 후보의 7.1%에 해당하는 것으로 19대 총선 대비 1.3% 포인트(p) 감소했다.폴리페서의 국회 입성 제한을 강화하는 정치권의 노력은 이어졌다.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4월 대학 총장과 학장, 교수, 부교수 등이 공직선거에 입후보하기 위해 90일 전 사퇴하도록 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문제는 교수 출신 국무위원이다. 현행 교육공무원법 44조는 교수들이 공무원으로 임용되면 교직을 휴직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겸직을 허용한다. 이 기간 학문적 중립성이 훼손되고 학생들의 수업권 역시 보호받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장우 자유한국당 의원이 2017년 7월 교수가 국무위원 등 정무직공무원으로 임용될 경우 휴직을 금지하는 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나 현재 해당 상임위원회인 교육위원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국무위원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여·야 갈등이 반복되는 배경이기도 하다. 야당 의원들은 교수 출신 국무위원들이 다시 강단에 설 경우를 고려해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강도 높은 공세를 이어간다. 반면 여당 의원들은 과도한 ‘재갈물리기’라며 표현의 자유가 위축될 가능성을 우려한다.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대표적이다. 임이자 한국당 의원은 지난해 10월 당시 조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 “SNS에 2012년 민주당 대선자문위원을 맡았다고 본인이 썼고, 이해찬 의원 선대본부도 참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후보자가 (박원순) 지지 참여 없다고 했는데 지지명단에 이름이 올랐다”며 “박 시장의 조직인 희망새물결 상임위원도 했는데 지지한 것 아닌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이에 한정애 민주당 의원은 “선거 기간 관계없는 정치적 현안에 대한 자기 의사표명은 가능하다”며 “공직선거 기간 중 정치적 중립은 엄격하게 관리된다”고 말했다. 이어 “(물어서) 의사표현을 한 것이 ‘왜 했냐’고 돌아온다고 하면 표현의 자유, 학문과 관련된 것을 표현 못하게 하는 재갈물리기가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이원광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감 0%
비공감 0% 이영민 [email protected] .
세종=문영재 [email protected]
최석환 [email protected] ‘시(詩)처럼 사는 삶(Deep Life)’을 꿈꿉니다. 그리고 오늘밤도 ‘알랭 드 보통’이 ‘불안’에 적어둔 이 글. 를 곱씹으며 잠을 청합니다.
이태성 [email protected] 역사의 현장에서 함께하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이원광 [email protected] ‘빛과 빛 사이의 어둠을 보라’ 기자정보 펼치기기자정보 접기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covad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covad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공대중연구소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0,013회 및 좋아요 45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왜 사람들이 지금 들어오는 공무원들 연금이 134만원이라고 오해하는 알아보고 실제로 그러한지 알아보자
그리고 대략적인 연금 계산법을 알아보자
퇴직연금 선택시 (세금공제후) 퇴직수당 45,063,950원, 연금수령액 2,205,880 … 공무원연금 소득재분배 도입의 최대피해 그룹이 교수 집단입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hibrain.net
Date Published: 5/22/2022
View: 780
노후생활비 105만원 모자라=실제 연금수령액을 보수적으로 잡으면 약 245만원이다. 원하는 생활비 350만원에 비하면 105만원 정도가 모자란다.
+ 더 읽기
Source: www.joongang.co.kr
Date Published: 12/25/2021
View: 6129
공무원연금의 동결 기준으로 삼은 438만원은 국민연금 최고 수령액(월 140 … 특히 국립대 의대 교수의 경우 상당히 높은 연봉과 수당을 오랜 기간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chosun.com
Date Published: 12/18/2021
View: 7703
사학연금이 공개한 자료로 사학연금 수령자의 월평균수령액은 3백만원(300만원)이 넘는다. … 교수 등 대학교 사립교원 월평균 수령액이 가장 높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cleanskysea.tistory.com
Date Published: 7/22/2022
View: 3359
2015년 12월 사학연금법이 개정됨에 따라 2016년 3월부터는 국립대병원 임상교수 요원과 직원들도 사학연금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사학연금3 사학연금4.
+ 더 읽기
Source: xo-jacob-xo.tistory.com
Date Published: 5/30/2021
View: 8636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 … 학교급별/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ko.taphoamini.com
Date Published: 9/26/2022
View: 5277
작년 2021년 12월에 예상한 2022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은 아래에 언급된 것처럼 0.5% 정도로 예상했었다. … 2022 국립대 교수 및 교원 월급.
+ 더 읽기
Source: awacs.whitedb2020.kr
Date Published: 4/2/2021
View: 3075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Top 28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The 168 Detailed Answer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답을 믿으세요
Article author: ppa.covadoc.vn
Reviews from users: 6313 Ratings
Ratings Top rated: 3.9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답을 믿으세요 그리고 대략적인 연금 계산법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답을 믿으세요 그리고 대략적인 연금 계산법 …
Table of Contents: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d여기에서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공무원연금 계산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자녀 뒷바라지 대책은2018 사학연금 통계연보 – 학교급별연금종류별 월평균연금액(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특수학교 학교경영기관)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상위 32개 답변 – Kotaphoaminicom
2022년 국민연금 수령액 인상 2022 퇴직공무원연금 인상률 군인 22년 사학 연금 교사 교원 호봉표
키워드에 대한 정보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Recent Posts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답을 믿으세요
Read More
고급두뇌를 위한 하이브레인넷(hibrain.net)
Article author: www.hibrain.net
Reviews from users: 16543 Ratings
Ratings Top rated: 4.3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고급두뇌를 위한 하이브레인넷(hibrain.net) 퇴직연금 선택시 (세금공제후) 퇴직수당 45,063,950원, 연금수령액 2,205,880 … 공무원연금 소득재분배 도입의 최대피해 그룹이 교수 집단입니다.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고급두뇌를 위한 하이브레인넷(hibrain.net) 퇴직연금 선택시 (세금공제후) 퇴직수당 45,063,950원, 연금수령액 2,205,880 … 공무원연금 소득재분배 도입의 최대피해 그룹이 교수 집단입니다. 하이브레인넷은 세계적인 석학을 교수로 초빙하는 대부분의 명문대학과 교수/연구직을 희망하는 석박사급 고급 두뇌의 대부분이 이용하는 우리나라 연구인력 채용정보를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Table of Contents:
하이브레인넷 서비스 메뉴
브레인카페
서비스링크
고급두뇌를 위한 하이브레인넷(hibrain.net)
Read More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의 2배) 넘어 – 조선일보
Article author: www.chosun.com
Reviews from users: 26285 Ratings
Ratings Top rated: 5.0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의 2배) 넘어 – 조선일보 공무원연금의 동결 기준으로 삼은 438만원은 국민연금 최고 수령액(월 140 … 특히 국립대 의대 교수의 경우 상당히 높은 연봉과 수당을 오랜 기간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의 2배) 넘어 – 조선일보 공무원연금의 동결 기준으로 삼은 438만원은 국민연금 최고 수령액(월 140 … 특히 국립대 의대 교수의 경우 상당히 높은 연봉과 수당을 오랜 기간 …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의 2배 넘어 -최고수준 공무원연금 통계 294명이 평균 수령액의 2배 받아 국민연금 최고 수령액의 3배 일반인들은 꿈도 못 꿀 액수 月700만원 받는 전직 공무원도 새누리당과 정부에 의해공무원연금 개혁, 더 내고 덜 받는 연금, 하후상박 구조, 공적연금 개혁 발언
Table of Contents:
교육부 69명, 외교부 38명… 月연금 438만원(공무원 연금 평균 수령액 219만원의 2배) 넘어 – 조선일보
Read More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자녀 뒷바라지 대책은 | 중앙일보Article author: www.joongang.co.kr
Reviews from users: 20042 Ratings
Ratings Top rated: 4.3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자녀 뒷바라지 대책은 | 중앙일보 그러나 공무원연금 개혁이 진행되고 있고 물가 등으로 실제 수령액은 이를 밑돌 가능성이 크다. 지금 예상의 70% 정도 보수적으로 잡아야 노후자금 부족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자녀 뒷바라지 대책은 | 중앙일보 그러나 공무원연금 개혁이 진행되고 있고 물가 등으로 실제 수령액은 이를 밑돌 가능성이 크다. 지금 예상의 70% 정도 보수적으로 잡아야 노후자금 부족 … 50세인 조씨가 65세에 은퇴해 25년간 노후를 보낸다고 할 때 은퇴 시점에 약 3억5000만원이 있어야 은퇴기간 동안 원하는 생활비를 모두 쓸 수 있다.
조씨네가 보유한 5억3000만원의 금융자산 가운데 은행예금 2억원을 노후준비에 쓴다고 할 때 지금의 금리수준으로는 15년후 3억5000만원을 만들 수 없다.
이렇게 은행예 – 국내외 채권펀드,신흥국 채권,보유 은행예금,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반퇴시대,더오래,더오래_재테크
조씨네가 보유한 5억3000만원의 금융자산 가운데 은행예금 2억원을 노후준비에 쓴다고 할 때 지금의 금리수준으로는 15년후 3억5000만원을 만들 수 없다. 이렇게 은행예 – 국내외 채권펀드,신흥국 채권,보유 은행예금,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반퇴시대,더오래,더오래_재테크 Table of Contents:
일단 해! 39살에 삼성 최연소 임원 그녀가 돌연 사표 쓴 이유
‘안 씻은 손 vs 젖은 손’ 뭐가 더 나쁠까…충격적 실험 결과
이재명 최악 시나리오…434억 토해내고 의원직도 잃는다 [그법알]
박수홍 아버지 진술에 충격…’형과 끝까지 가겠다’고 말했다
또 김정은 뒤에 붙었다…김여정·현송월 대신한 ‘안경女’ 누구
이전
김동호의 반퇴의 정석(49) 자영업자도 정년을 준비하라
다음
[J report] 부모 잃은 아이도 90대 노인도 신탁을 찾는 이유당신의 자산은 안녕하신가요
아아·따아·아라·따라…커피 타입으로 본 나의 리더십 유형은
2022 올해의 시계를 만나다
위기의 화력발전소 수소・암모니아가 구원투수!
근로기준법 개정 후 사장님들 하소연
침대 회사가 왜 삼겹살 수세미를 팔지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자녀 뒷바라지 대책은 | 중앙일보Read More
공무원 연금 수령액과 지급 시기
Article author: jingoo.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3639 Ratings
Ratings Top rated: 4.6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공무원 연금 수령액과 지급 시기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퇴직급여 인터넷 청구→인증서 로그인→퇴직급여 … 현재글공무원 연금 수령액과 지급 시기; 다음글국립대 교수, 총장,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공무원 연금 수령액과 지급 시기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퇴직급여 인터넷 청구→인증서 로그인→퇴직급여 … 현재글공무원 연금 수령액과 지급 시기; 다음글국립대 교수, 총장, … 공무원 연금제도란?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제도로써 10년 이상 재직한 공무원이 정년퇴직 또는 질병·부상으로 퇴직·사망한 때에 나라에서 공무원 및 그 가족(유족)들에게 연금이나 일시금을 지급하여 그들..김영란법 기준, 실업수당 조건, CCTV 규정, 운전면허 정지 취소 등 생활법령 소개
Table of Contents:
공무원 연금 수령액과 지급 시기
공무원 연금제도란
지급대상과 신청방법
신청해야 하는 퇴직급여의 종류
공무원 연금 수급 개시연령
공무원 연금 월 지급금액
기타 공무원 연금 관련 Q&A
티스토리툴바
공무원 연금 수령액과 지급 시기
Read More
2018 사학연금 통계연보 – 학교급별/연금종류별 월평균연금액(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특수학교, 학교경영기관)
Article author: cleanskysea.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17609 Ratings
Ratings Top rated: 4.4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2018 사학연금 통계연보 – 학교급별/연금종류별 월평균연금액(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특수학교, 학교경영기관) 사학연금이 공개한 자료로 사학연금 수령자의 월평균수령액은 3백만원(300만원)이 넘는다. … 교수 등 대학교 사립교원 월평균 수령액이 가장 높다.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2018 사학연금 통계연보 – 학교급별/연금종류별 월평균연금액(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특수학교, 학교경영기관) 사학연금이 공개한 자료로 사학연금 수령자의 월평균수령액은 3백만원(300만원)이 넘는다. … 교수 등 대학교 사립교원 월평균 수령액이 가장 높다. 사학연금이 공개한 자료로 사학연금 수령자의 월평균수령액은 3백만원(300만원)이 넘는다. 고등학교 사무직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월수령액이 5만 5천원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포함 고등교육기관인..
Table of Contents:
2018 사학연금 통계연보 – 학교급별/연금종류별 월평균연금액(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특수학교, 학교경영기관)
Read More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Article author: xo-jacob-xo.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40865 Ratings
Ratings Top rated: 4.8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2015년 12월 사학연금법이 개정됨에 따라 2016년 3월부터는 국립대병원 임상교수 요원과 직원들도 사학연금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사학연금3 사학연금4.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2015년 12월 사학연금법이 개정됨에 따라 2016년 3월부터는 국립대병원 임상교수 요원과 직원들도 사학연금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사학연금3 사학연금4.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최근들어 연금에 대해서 말도 많고 문제도 많은게 사실인거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4개의 공적 연금제도가 설치,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로 국민연금, 공..
Table of Contents:
xoJACOBxo
티스토리 뷰
사학연금 소개
사학연금 가입대상
사학연금 비용 부담금
사학연금 바뀐 내용
사학연금 급여제도
사학연금 수령액
사학연금 수령액 총정리
Read More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Article author: www.chungbuk.ac.kr
Reviews from users: 20883 Ratings
Ratings Top rated: 3.3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공무원연금[퇴직급여] 청구. 5. 한국교직원공제회 장기저축급여 청구. 6. 교원단체총연합회 회원 위로금 청구. ▢ 정년(명예)퇴직 후. 1. 신분증 발급. 2. 명예교수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공무원연금[퇴직급여] 청구. 5. 한국교직원공제회 장기저축급여 청구. 6. 교원단체총연합회 회원 위로금 청구. ▢ 정년(명예)퇴직 후. 1. 신분증 발급. 2. 명예교수 …
Table of Contents: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Read More
재테크
Article author: blog.daum.net
Reviews from users: 22331 Ratings
Ratings Top rated: 4.8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재테크 공무원/사학연금 계산법 2016.03.24 | 답변12 선배 교수님들~, … 사학연금은 잘 모르지만, 저의 경우 50대 초중반의 국립대 교수로써 소득재분배에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재테크 공무원/사학연금 계산법 2016.03.24 | 답변12 선배 교수님들~, … 사학연금은 잘 모르지만, 저의 경우 50대 초중반의 국립대 교수로써 소득재분배에 … 공무원/사학연금 계산법 2016.03.24 | 답변12 선배 교수님들~, 공무원 혹은 사학 연금 수령금액을 계산해 볼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올해 임용된 신임교수가 27년 근무후 은퇴 하였을때, 현재 화폐 가..재테크
Table of Contents:
재테크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khunganhtreotuong.vn/blog/.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covad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covad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공대중연구소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0,013회 및 좋아요 45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왜 사람들이 지금 들어오는 공무원들 연금이 134만원이라고 오해하는 알아보고 실제로 그러한지 알아보자 그리고 대략적인 연금 계산법을 알아보자 퇴직연금 선택시 (세금공제후) 퇴직수당 45,063,950원, 연금수령액 2,205,880 … 공무원연금 소득재분배 도입의 최대피해 그룹이 교수 집단입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hibrain.net Date Published: 5/22/2022 View: 780 노후생활비 105만원 모자라=실제 연금수령액을 보수적으로 잡으면 약 245만원이다. 원하는 생활비 350만원에 비하면 105만원 정도가 모자란다. + 더 읽기 Source: www.joongang.co.kr Date Published: 12/25/2021 View: 6129 공무원연금의 동결 기준으로 삼은 438만원은 국민연금 최고 수령액(월 140 … 특히 국립대 의대 교수의 경우 상당히 높은 연봉과 수당을 오랜 기간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chosun.com Date Published: 12/18/2021 View: 7703 사학연금이 공개한 자료로 사학연금 수령자의 월평균수령액은 3백만원(300만원)이 넘는다. … 교수 등 대학교 사립교원 월평균 수령액이 가장 높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cleanskysea.tistory.com Date Published: 7/22/2022 View: 3359 2015년 12월 사학연금법이 개정됨에 따라 2016년 3월부터는 국립대병원 임상교수 요원과 직원들도 사학연금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사학연금3 사학연금4. + 더 읽기 Source: xo-jacob-xo.tistory.com Date Published: 5/30/2021 View: 8636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 … 학교급별/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ko.taphoamini.com Date Published: 9/26/2022 View: 5277 작년 2021년 12월에 예상한 2022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은 아래에 언급된 것처럼 0.5% 정도로 예상했었다. … 2022 국립대 교수 및 교원 월급. + 더 읽기 Source: awacs.whitedb2020.kr Date Published: 4/2/2021 View: 3075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공무원 연금수령액 134만원?? 개소리 하지마세요.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공무원연금 계산
연금에서 소득 재분배 기능이란 것이 정확히 뭔가요? 1. 연금의 대상이 되는 급여 액수가 많은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은 사람 보다 세금을 많이 내거나, 연금을 월급에서 많이 내야하는 걸 말하나요? 2. 그리고 군인의 경우, 사병은 연금대상이 아니고, 하사관과 준사관 위관급, 영관급, 장성급이 있을 것이고 크게 분류하면, 하사관와 위관급 이상이 분류가 될 것 같은데요. 숫자로만 따지만 하사관, 준사관이 많지 않나요? 3. 공무원연금 및 사학연금이 최대 36년간 연금을 납부할수있는데, 교수는 상대적으로 임용이 늦어니 (그렇지만 공무원 보다는 몇년 정년이 길기는 합니다) 소득에 비해서 전체 연금 수령액이 작다는 의미인가요? 통상 교수는 최초임용일이 약 만 37세라고 보면, 남자의 경우 군경력, 기타경력을 합하면, 대략 33-34세 정도 부터 연금시작 년수로 잡히고, 만65세 까지면, 대략 32-33년 정도 잡힐 것 같고, 여성은 좀 더 길 것 같은데요. 아닌가요? 즐겨찾기 신고 추천 0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15년 후 은퇴하는 국립대 교원, 늦둥이 자녀 뒷바라지 대책은Q. 대구에 사는 조모(50)씨. 국립대학교 교직원으로 전업주부인 부인과 자녀 둘을 키우고 있다. 15년 후 정년퇴직인데, 공무원연금과 부인의 개인연금으로 노후생활비는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결혼을 늦게 해 은퇴 후에도 자녀 뒷바라지를 해야 한다. 자산운용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물어왔다. 신흥국 펀드·전단채 매입, 이자 수입은 재투자” A. 조씨는 15년후 정년퇴직을 하면 공무원연금에서 300만원, 개인연금 50만원을 탈 것으로 예상한다. 노후에 원하는 생활비 350만원을 충당할 수 있는 액수다. 그러나 공무원연금 개혁이 진행되고 있고 물가 등으로 실제 수령액은 이를 밑돌 가능성이 크다. 지금 예상의 70% 정도 보수적으로 잡아야 노후자금 부족 사태를 막을 수 있겠다. ◆노후생활비 105만원 모자라=실제 연금수령액을 보수적으로 잡으면 약 245만원이다. 원하는 생활비 350만원에 비하면 105만원 정도가 모자란다. 지금부터 추가적으로 준비하지 않으면 노후에 적자생활을 각오해야 한다. 50세인 조씨가 65세에 은퇴해 25년간 노후를 보낸다고 할 때 은퇴 시점에 약 3억5000만원이 있어야 은퇴기간 동안 원하는 생활비를 모두 쓸 수 있다. 물가상승률 1.5%, 은퇴 전 기대수익률 4%, 은퇴 후 기대수익률 3%를 각각 가정해서다. 조씨네가 보유한 5억3000만원의 금융자산 가운데 은행예금 2억원을 노후준비에 쓴다고 할 때 지금의 금리수준으로는 15년후 3억5000만원을 만들 수 없다. 좀 더 수익이 나는 투자자산으로 갈아타든지 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금리상승기의 신흥국 채권은 유망= 조씨가 안정적 성향을 보이는 만큼 은행금리+α의 중위험·중수익을 추구하는 금융상품을 추천한다. 대표적인 상품으론 채권이 있다. 보통 금리상승기의 채권투자는 금기사항이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값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흥국 채권은 꼭 그렇지 않다. 금리상승은 경제가 좋아진다는 걸 의미하고, 채권은 신용보강이 이루어지면서 안정성이 높아진다. 최근 외국인들이 국내 채권 매수를 늘리고 있는 것은 이 같은 맥락에서다. 보유 은행예금 2억원 중 6000만원을 전자단기사채(일명 전단채) 펀드에 투자하기 바란다. 전단채 펀드는 국내 기업이 발행하는 만기 1년 미만의 전단채와 기업어음(CP) 등에 투자하며, 수익률은 2%대다. 나머지 1억4000만원은 신흥국 채권 펀드를 구매할 것을 권한다. 월지급식을 선택할 경우 연수익률 6% 기준 매월 70만원의 현금흐름이 생긴다. 이 돈은 주식형 또는 주식혼합형 펀드에 적립식으로 재투자할 것을 권한다. 이렇게 은행예금 2억원을 국내외 채권상품에 분산해 투자와 재투자를 병행하면 15년 후 3억5000만원 이상의 목돈을 만들 수 있다. 채권 투자는 신용과 환율이란 변수 때문에 종류와 매입 시기를 철저하게 분산해야 한다는 걸 잊지 말기 바란다. ◆자녀 결혼자금, 증여로=올해 7살인 둘째 딸 아이의 대학 재학시기가 조씨의 은퇴시기와 겹친다. 중 3인 큰 아이의 결혼도 현재의 만혼 추세로 볼 때 조씨가 은퇴한 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 조씨는 두 자녀에게 각 2000만원 씩 증여한 상태다. 이를 월지급식 상품에 가입해 생기는 9만원(연 수익률 5% 기준)의 이자를 국내외 주식형 펀드에 적립하도록 하자. 15년후엔 원금을 합쳐 자녀 1명 당 4300만원이 만들어진다. 10년후 여유가 생긴다면 자녀들에게 재증여(성인은 5000만원 한도)하는 것이 좋겠다. ◆지면 상담=재산리모델링센터(02-751-5525, [email protected])로 상담을 위한 전화번호, 자산·수입·지출 현황 등을 알려 주세요. 가명으로 처리되고 무료입니다. =재산리모델링센터(02-751-5525, [email protected])로 상담을 위한 전화번호, 자산·수입·지출 현황 등을 알려 주세요. 가명으로 처리되고 무료입니다. ◆대면 상담=전문가를 만나 상담을 받습니다. 상담료 5만원은 저소득층 아동을 돕는 ‘위스타트’에 기부 됩니다. 연락처는 지면상담과 동일합니다. ◆재무설계 도움말=김은미 한화투자증권 갤러리아지점 부장, 김명진 미래에셋대우 WM강남파이낸스센터 수석웰스매니저, 허혁재 미래에셋대우 고객서비스팀 부동산수석컨설턴트, 임대성 ㈜와이알컴퍼니 대표 ◆후원=미래에셋대우·KEB하나은행 서명수 객원기자 [email protected]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교수 연금 얼마, 사립대 교수 연금, 국립대 교수 연봉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국립대 교수 연금 수령액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교수 퇴직연금, 사학연금 실수령액, 사학연금 수령 연기, 사학연금 수령 방법, 사학연금 개시 연령, 대학교 교직원 연금, 사학연금 추가 납입, 사학연금 일시금 수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