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like1.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사바하 뜻, 아제아제바라아제 나무위키, 아제 뜻, 반야심경, 아제아제바라아제 출연진, 아제아제바라아제 줄거리, 아제아제바라아제 소설, 반야심경 해석
그래서 주문의 뜻을 다시 한번 음미해 보면, ‘가는 이여, 가는 이여, 저 언덕으로 가는 이여, 저 언덕으로 온전히 가는 이여, 깨달음이여, 영원하여라‘라고 풀이 할 수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의 뜻 <폄>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45633
Ratings
- Top rated: 3.5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의 뜻 <폄> : 네이버 블로그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의 뜻 <폄> : 네이버 블로그 Updating
- Table of Contents: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작성자 이외의 방문자에게는 이용이 제한되었습니다

[청년을 위한 불교기초강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무슨 뜻? – 불교신문
- Article author: www.ibulgyo.com
- Reviews from users: 18291
Ratings
- Top rated: 4.3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청년을 위한 불교기초강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무슨 뜻? – 불교신문 Q 의 마지막 구절인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는 무슨 뜻인가? 진언으로 보통 번역하지 않지만’가버리게 하네! 가버리게 하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청년을 위한 불교기초강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무슨 뜻? – 불교신문 Q 의 마지막 구절인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는 무슨 뜻인가? 진언으로 보통 번역하지 않지만’가버리게 하네! 가버리게 하네! Q 의 마지막 구절인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는 무슨 뜻인가? 진언으로 보통 번역하지 않지만‘가버리게 하네! 가버리게 하네! 부처님 세계로 완전히 건너가네!깨달음이여, 아~싸(만세)!’ 정도…A 한문으로 읽혀지는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는 음역된 것으로 우리말로는 그대로 번역 할 수 없습니다. 그 뜻을 알고자 하면 인도의 고대 글자인 산스크리트어의 원음을 알아야 합니다.산스크리트어 원음은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드히 스바하(ga
- Table of Contents:
![[청년을 위한 불교기초강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무슨 뜻?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news/thumbnail/201911/202862_205892_4746_v150.jpg)
아제아제 바라아제 뜻
- Article author: brunch.co.kr
- Reviews from users: 14797
Ratings
- Top rated: 3.5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아제아제 바라아제 뜻 신비한 주문을 열심히 외워서 깨달음을 얻자는 믿음이 넘쳐난다. 이 말은 “지금은 아니다.”라는 말이다. 지금은 깨달음이 없다는 말이다. 또 이 말은 ”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아제아제 바라아제 뜻 신비한 주문을 열심히 외워서 깨달음을 얻자는 믿음이 넘쳐난다. 이 말은 “지금은 아니다.”라는 말이다. 지금은 깨달음이 없다는 말이다. 또 이 말은 ” …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한때, 많은 이들이 반야심경의 이 마지막 부분을 신성시하며 만트라는 번역하는 게 아니기에 뜻을 생각하지 말고 반복해야 한다고 믿었다. 세상 최고의 신비하고 대단한 주문이니 주문 자체에 뭔가 대단한 힘이 있다는 믿음이다. 그런데 분명 반야심경은 그런 거 없다고 말한다. 혹여라
- Table of Contents:

38.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 Article author: kydong77.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5042
Ratings
- Top rated: 3.0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38.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개별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능제일체고(能除一切苦 ) 능히 일체의 고통을 제거한다라는 의미는 존재하는 모든 것은 인과 연의 상호화합에 의해 생겨났으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38.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개별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능제일체고(能除一切苦 ) 능히 일체의 고통을 제거한다라는 의미는 존재하는 모든 것은 인과 연의 상호화합에 의해 생겨났으 …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38.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http://blog.daum.net/mahatop7/5498 이 부분은 반야바라밀다..http://kydong77.tistory.com/12021
205.凡人所生者神也(범인소생자신야),
무릇 사람이 살아 있음은 정신이 있기 때문이요
206.所托者形也(소탁자형야).
정신이 의탁하는 것은 그 육체다. ……..
214.神者生之本也(신자생지본야),
정신이란 살아 있는 사람의 근본이며
215.形者生之具也(형자생지구야).
육체는 그 정신을 담는 그릇이다.
— <太史公自序> - Table of Contents: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상위 229개 답변
- Article author: ppa.giaohangso1.vn
- Reviews from users: 6403
Ratings
- Top rated: 3.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상위 229개 답변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d여기에서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 아제 아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상위 229개 답변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d여기에서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 아제 아제 …
- Table of Contents: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d여기에서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의 뜻 폄
[청년을 위한 불교기초강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무슨 뜻아제아제 바라아제 뜻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는 무슨 뜻인가
38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이종권의 ‘도서관’ 아카데미
[불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키워드에 대한 정보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Recent Posts

Freeboard – [불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 Article author: www.snuma.net
- Reviews from users: 11798
Ratings
- Top rated: 4.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Freeboard – [불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눈과 귀와 코와 혀와 몸과 뜻도 없으며 … 아제아제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揭諦揭諦波羅揭諦波羅僧揭諦菩提娑婆訶)’.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Freeboard – [불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눈과 귀와 코와 혀와 몸과 뜻도 없으며 … 아제아제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揭諦揭諦波羅揭諦波羅僧揭諦菩提娑婆訶)’.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 시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色卽是空 空卽是色 색즉시공 공즉시색 受想行識 亦復如是 수상행식 역부여시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사리자 시제법공…
- Table of Contents:
![Freeboard - [불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https://i0.wp.com/wpsites.net/wp-content/uploads/2014/06/icon-after-more-link.png)
반야심경의 현대적 해석 6
- Article author: bellpower.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45365
Ratings
- Top rated: 4.2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반야심경의 현대적 해석 6 사찰에서는 ‘아제아제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로 발음이 굳어짐).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모두 함께 지혜의 세계로 갈지어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반야심경의 현대적 해석 6 사찰에서는 ‘아제아제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로 발음이 굳어짐).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모두 함께 지혜의 세계로 갈지어다. 231. 能(능) 할 수 있다. 능하다. 能力 232. 除(제) 덜다, 없애다. 버리다 233. 一(일) 하나 234. 切(체) 온통, 끊다. 235. 苦(고) 괴로움, 고통 能除一切苦(능제일체고) 모든 괴로움을 없앨 수 있다. 236. 眞(..
- Table of Contents:
‘한문역사한자교재’ Related Articles
공지사항
최근 포스트
태그
검색
전체 방문자

[알라딘서재]‘반야심경 마음공부‘ – 근심 걱정이 사라지고 인생이 편안해지는 반야심경 –
- Article author: blog.aladin.co.kr
- Reviews from users: 38431
Ratings
- Top rated: 3.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알라딘서재]‘반야심경 마음공부‘ – 근심 걱정이 사라지고 인생이 편안해지는 반야심경 –
읽어 보니까 한번 읽어서는 그 뜻과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 … 마지막 문단에 나오는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는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알라딘서재]‘반야심경 마음공부‘ – 근심 걱정이 사라지고 인생이 편안해지는 반야심경 –
읽어 보니까 한번 읽어서는 그 뜻과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 … 마지막 문단에 나오는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는 … - Table of Contents:
![[알라딘서재]‘반야심경 마음공부‘ - 근심 걱정이 사라지고 인생이 편안해지는 반야심경 -](https://i0.wp.com/wpsites.net/wp-content/uploads/2014/06/icon-after-more-link.png)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like1.vn/blog.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의 뜻 <폄>
텅 비어 아무것도 얻을 것이 없는 반야의 도리를 주문으로 말하리라.
“건너 갔네, 건너갔네. 저 언덕을 건너 갔네. 언덕을 모두 다 건너 갔네. 깨달음을 성취 했네.
성취했네, 성취했네. 모든 소망 성취했네. 만 중생들의 모든 소망 다 성취했네.
행복하여라, 행복하여라. 우리모두 행복하여라. 이 세상 우리 모두 다 함께 행복하여라.”
여기서 설해진 주문은 『반야심경』의 결론입니다. 그것은 곧 팔만대장경의 결론이며, 불교 전체의 결론입니다. 『반야심경』전체의 내용을 이 한 구절의 주문으로 압축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부터 주문은 번역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했습니다.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는 음역한것으로서, 범어로는 가테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바하(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입니다.
가테, 즉 <아제>는 ‘가다’의 뜻인데, 호격으로 ‘가는이여’ 혹은 청유형으로 ‘가자, 가세’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파라가케, 즉 <바라가제>는 ‘피안으로 가다’는 뜻입니다. <바라아제>는 ‘저 언덕으로 가는 이여’ 혹은 ‘저 높은 곳으로 가자’라고 의역 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도일제고액> 혹은 <능제일체고>한 상태입니다.
<승>은 ‘집단모두’ 혹은 ‘총(總)’의 뜻이 있습니다. <모지>는 ‘보리’, 즉 ‘각(覺)’이란 뜻입니다. <사바하>는 ‘원만, 성취, 구경’ 등의 뜻이 있는데, 앞의 내용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주문의 뜻을 다시 한번 음미해 보면,
‘가는 이여, 가는 이여, 저 언덕으로 가는 이여, 저 언덕으로 온전히 가는 이여, 깨달음이여, 영원하여라’라고 풀이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다시 ‘가세, 가세, 저 언덕에 가세, 우리 함께 저 언덕에 가세, 깨달음이여, 행복이 있어지이다’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하나의 주문으로 『반야심경』의 마지막을 마무리 짓고 있습니다. 이 주문 속의 ‘가는 이여’라는 말 속에는 ‘당신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가’를 묻고 있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어딘가를 향해 끊임없이 가고 있습니다. 한살은 두 살을 향해, 학생은 학교를 향해, 어른은 돈과 명예를 향해 끊임없이 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은 누구나 가는 방향이 전부 다릅니다. 불행을 향해 가는 사람도 있고, 행복을 향해 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 행복을 향해 간다고 하는 것이 불행을 향해 갈 수도 있고, 올라간다고 하는 것이 내려갈 수도 있습니다.
자기 자신은 매 순간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 점검을 보아야 합니다. 불교는 마음을 닦는 공부라고 말합니다. 마음을 닦기 위해서는 자신이 과연 어느 방향을 향해 가고 있는지 항상 되새겨 보아야 합니다.
어릴 때는 청년을 향해, 청년은 중년을 향해, 중년은 노년을 향해 쉼 없이 가는 인생이지만, 그냥 가게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됩니다. 육신은 죽음을 향해 가고 있지만 마음은 지혜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야 합니다.
누구나 피안을 향해 가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진정한 행복과 평화를 향해 가야 합니다. 지혜의 완성은 우리에게 행복과 평화와 자유를 가져다주기 때문입니다.
옆길을 돌아보지 말고 온전히 피안을 향해서 앞으로 가야합니다. 외형상으로는 죽음을 향해 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이 진정한 자기 본래 모습은 아닙니다. 자기 자신을 영원히 살리려면 지혜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야 합니다.
태그
[청년을 위한 불교기초강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무슨 뜻?
Q <반야심경>의 마지막 구절인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는 무슨 뜻인가?
진언으로 보통 번역하지 않지만
‘가버리게 하네! 가버리게 하네!
부처님 세계로 완전히 건너가네!
깨달음이여, 아~싸(만세)!’ 정도…
A 한문으로 읽혀지는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는 음역된 것으로 우리말로는 그대로 번역 할 수 없습니다. 그 뜻을 알고자 하면 인도의 고대 글자인 산스크리트어의 원음을 알아야 합니다.
산스크리트어 원음은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드히 스바하(gate gate pragate prasam.gate bodhi svh)’입니다. 이 문구는 일반적 문장이 아니라 진언 혹은 주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진언이나 주문은 주로 번역을 하지 않으나 보기 드물게 이 문장은 번역을 하기도 합니다.
진언이란 주로 몸과 마음과 호흡이 깊은 명상으로 하나가 되었을 때 터져 나오는 소리를 말합니다. 깊은 명상 속에서는, 마치 물고기가 노니는 투명한 어항 속을 들여다보는 것처럼 사물의 본모습을 확연히 볼 수 있습니다.
<반야심경> 속의 주인공인 관세음보살은 이렇게 진리를 이해하고 세상을 꿰뚫어 본 뒤, 모든 고통을 극복하였습니다. 완벽한 해탈에 이른 그는 기쁨의 탄성을 질렀는데, 그것이 바로 이 진언입니다.
‘아제(gate)’는 가버린 것을 의미합니다. 괴로움에서 해탈로 가버린 것이고, 혼란스러움에서 고요한 명상으로 가버린 것입니다. 반복어 ‘아제아제(gate gate)’는 가버리고 또 가버린 것입니다. ‘바라아제(pragate)’는 아주 먼 저 곳 끝, 파라다이스(부처님 세계)까지 가버린 것을 말합니다. ‘바라승아제(prasam.gate)’는 완전히 저 먼 곳 피안의 세계에 가버린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니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는 ‘가버리네 가버리네! 부처님 세계로 가버리네! 부처님 세계(피안)로 완전히 가버렸네!’라고 번역 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모지 사바하(bodhi svh)’는 ‘모지(bodhi)’가 깨달음을 뜻하고, ‘사바하(svh)’는 기독교의 할렐루야처럼 기쁨과 행복에서 나오는 소리를 말합니다.
굳이 표현해 보자면 ‘이루어지이다!’ 혹은 ‘만세!’, 젊은 세대들 표현이라면 ‘아싸!’ 정도로 번역 해 볼 수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러면 ‘모지 사바하’는 ‘깨달음이여, 아~싸(만세)!’가 되겠습니다.
정리하자면 반야심경의 마지막 구절인 이것은 이 경의 핵심인 ‘공(空)’을 이해하고 깨달은 희열을 외마디 탄성으로 표현한 진언입니다. 굳이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를 번역해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버리게 하네! 가버리게 하네! 부처님 세계로 가버리게 하네! 부처님 세계(피안)로 완전히 건너 가버리게 하네! (공의)깨달음, 아~싸(만세)!’
[불교신문3533호/2019년11월9일자]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제아제 바라아제 뜻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한때, 많은 이들이 반야심경의 이 마지막 부분을 신성시하며 만트라는 번역하는 게 아니기에 뜻을 생각하지 말고 반복해야 한다고 믿었다. 세상 최고의 신비하고 대단한 주문이니 주문 자체에 뭔가 대단한 힘이 있다는 믿음이다. 그런데 분명 반야심경은 그런 거 없다고 말한다. 혹여라도 그들의 믿음처럼 그런 것이 있었으면 오랫동안 중국이나 한국의 수행자들은 다 헛일한 샘은 아닐까.
산스크리트어를 비슷한 한자 음으로 음역하고 그 한자음을 다시 한글 음으로 옮긴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는 정확한 발음이 아니다. 산스크리트어로는 गते गते पारगते पारसंगते बोधि स्वाहा이고 IAST에서 나타내는음운은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bodhi svāhā이고 IPA에서 나타내는 음운은ɡəteː ɡəteː paːɾəɡəteː paːɾəsəŋɡəte boːdʱɪ sʋaːɦaː이다. 분명 우리가 발음하는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랑 비슷하기는 하다. 비슷하다는 것도 이 발음에 익숙한 한국인이 보기에 그렇다. 고대 인도인이 들으면 전혀 다른 말일지도 모른다. 혹, 우리가 바라는 그런 뜻이 아니라 정 반대의 말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
미국 식당에 가서 보니 나이프는 있는데 포크가 없어서 “포크 좀 갖다 주실레요? Could you give me a pork?”라고 말하면 돼지고기를 가져다줄지 모른다. Folk의 “F” 사운드를 바르게 발음하지 못하고 한국 사람들이 자주 실수하듯 한글 음대로 “P” 사운드로 “포크”로 발음하면 나이프 옆 포크가 아니라 돼지고기가 된다.
나와 너가 점하나 차이지만 정반대의 말이 되는 한국어도 마찬가지다. 한국말이 서툰 남자가 한국 여자분에게 “너를 좋아한다.”라고 고백하려 한다. 차마 만났을 때 말은 못 하고 전화를 걸어 용기 내어 말한다. “내가 나를 좋아하는 것 같아.”라고 말했다. 여자분이 왜 전화해서 자기 자신을 좋아한다고 하는지 몰라 황당해서 “… 응… 그래서?”라 반문한다. 남자는 바로 뭔가 잘 못된 걸 직감하고 전화를 서둘러 끊고 머리를 쥐어 뜯는다.
한국말이 어설픈 외국인이 택시를 잡아타고 가는데 기사분이 이리 가면 되냐고 여러 번 묻길래 택시 기사에게 여러 번 “계속 직진해 주세요.”라고 했더니 택시 기사분이 화가 나 보였다 한다. 한국인 친구가 어떻게 말했는지 들어보니 “계소키 직진해요.”로 들린다. 한바탕 웃고 나서 외국인 친구에게 욕같이 들렸을 수 있겠다고 일러준다. 자칫 욕 같은 이 말에 아무리 외국인이라도 택시 기사분이 성질 있는 분이셨으면 가만있지 않으셨을 거라고 덧붙인다.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라고 한들, 콜라를 모르는 조선시대 수행자가 “콜라콜라 코카콜라 팹시도콜라 모지 사바하”라고 한들 뭐가 다를까.
우스게 소리로 들릴지 모르겠지만 뼈 있는 말이다. 흘려들을 소리가 아니다. 여전히 “혹시나.. 그래도..”하는 마음이 있다면 가만히 자신에게 어떤 믿음이 있는지 살펴보라.
아직도 “그래도, 혹시나”하면서 뭔가 얻을 것이 없을까 하며 바라는 찾는 이는 마지막 부분을 하나의 방법으로 받아들인다. 뭔가를 얻을 수 있는 깨달음에 도달할 수행이라 여긴다. 스승은 오늘도 자신의 노력만을 탓하며 뼈 깎는 수행을 이어가는 수행자들이 안타깝다. 그래서 침묵으로 충분할 가리킴이 길어진다. 어쩔 수 없이 이런 주문도 설하게 된다. 이 또한 다 있는 그대로인 것을 스승은 잘 안다.
반야심경의 마지막 이 부분을 바로 이해하려면 수많은 수행에 관한 환상과 믿음을 내려놓고 ‘수행’의 본질을 바로 알아야 한다. 수행은 뭔가를 얻기 위한 방법이 아니다. 얻을 것이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위한 노력이다. 진리를 찾기 위해 지금 여기가 아닌 어딘가 피안(彼岸)으로 갈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진리는 바로 지금, 바로 여기 있다.”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위한 노력이다. 있는 그대로의 진리가 드러나기를 바라는 간절함의 표현이다. 이것이 수행의 본질이다.
揭諦揭諦 波羅揭諦
아제아제 바라아제
신비한 주문을 번역하면 안 된다는 한때의 믿음을 뒤로한 채 요즘은 이 부분을 한글로 번역해서 알리는데, 한글 위키피디아에 나온 다음 번역이 일반적이다.
“가자 가자 넘어가자, 모두 넘어가서 무한한 깨달음을 이루자.”
그런데 영어 위키피디아에 나온 영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gone, gone, everyone gone to the other shore, awakening, svaha.”
(일단 직역해보면 “건너갔다, 건너갔다, 모두가 저 너머로 건너갔다. 깨달음이여, 사바하”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가자 가자 넘어가자, 모두 넘어가서..”라는 한글 번역에는 정확히 반야심경에서 그렇지 않다고 알려주는 믿음이 가득하다. 신비한 주문을 열심히 외워서 깨달음을 얻자는 믿음이 넘쳐난다. 이 말은 “지금은 아니다.”라는 말이다. 지금은 깨달음이 없다는 말이다. 또 이 말은 “여기는 아니다.”라는 말이다. 여기는 벗어나야 할 삼사라다. 현세상을 부정하고 이데아를 꿈꾸는 플라톤의 철학이다. 괴로운 삶을 벗어나고 싶은 사람들의 마음이다. 이런 믿음을 바탕으로 나온 번역이다. 반야심경의 전체 내용과 맞지 않는 번역이다.
영어 위키피디아에 나온 산스크리트어의 영어 번역을 보면 반야심경 전체 내용과 흐름을 같이 한다. “건너갔다, 건너갔다, 모두가 저 너머로 건너갔다.”라는 반야심경의 뜻을 잘 품고 있다. 공하다, 얻을 것이 없다, 갈 곳이 따로 없다고 말하는 반야심경이 가리키고자 하는 바다. ‘나’만 저 너머로 간 것이 아니라 세상 모두가 이미 도착해 있다는 말이다. 그리고 말한다. 이것이 깨달음이라고. “무무명 역무무명진”에서부터 “일체고진실불허”까지의 내용을 요약한다.
아직 스승의 말이 명확히 이해가 안 되고 받아들이기 힘든 찾는 이는 이렇게 요약된 내용을 되풀이하면서 기다린다. 스승이 왜 이렇게 내용을 요약해서 되풀이하게 하는지는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일단 되뇌기 쉽게 핵심을 요약한다. 이미 자세한 뜻은 길게 앞에서 설명했으니 찾는 이는 요약된 내용의 본 뜻을 알고 있다. 요약을 반복하면서 가리킴의 본 뜻을 계속해서 가슴에 새기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되풀이하는 까닭은 앎의 본질이 여기 있기 때문이다. 뭔가를 알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반복이라 할 수 있다. 반복하면 익숙해진다. 익숙하면 문득 “아하!” 한다. 안다고 생각한다. 이제 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것을 다들 앎이라고 말한다. 물론 단순한 반복을 말하는 것이 전혀 아니다. 반복할 때 그 뜻을 알고자 하는 의도가 있어야 한다. 간절함이 있어야 한다. 그 뜻에 자꾸자꾸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이것이 위빠사나다. 이것이 만트라다. 이것이 살펴보기다.
위빠사나(Vipassanā, विपश्यना, 觀, Vipaśyanā)와 만트라는 본질적으로 같다. 같은 수행이다. 관심을 가지고 반복해서 살펴보다 보면 앎이 일어난다. 궁극적 깨달음이 일어난다.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일어난다.
娑婆訶
사바하
사바하(薩婆訶, svāhā, Sanskrit: स्वाहा)는 산스크리트어로 어떤 주문을 말한 뒤 마무리하는 통상적인 말인데 여러 번역을 통해 나타나는 의미는 간절함의 표현이라는 점이다.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이렇게 찾음의 본질과 수행의 본질을 살피며 스승이 반야심경을 통해서 찾는 이에게 무엇을 가리키려 하는지 그 의도를 담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있다. 있다. 모두 있다. 바로 지금 여기 모두 있음에 눈뜨게 하옵소서.”
반야심경을 요약해서 찾는 이가 반복하기 쉽게 만든 말이다. 반복으로 오랜 믿음이 씻겨나가고 스승의 가리킴에 가슴이 열리도록 하는 말이다. 그렇게 문득 앎이 일어나게 하는 주문이다.
모든 헛된 믿음을 내려놓고 다시 보면 참으로 신비하게 앎을 일으키는 주문이며 당신의 가슴을 환히 밝히는 주문이며 최상의 주문이며 따로 다른 대단한 비법을 찾아다닐 필요 없이 이것만 집중하면 되는 주문이다. 그래서 능히 모든 오해와 믿음의 어려움을 넘어 있는 그대로의 진리가 드러나게 하는 유일한 길이다. 특정한 문장이나 방법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본질이 그렇다는 말이다. 실체가 그렇다. 그렇게 공하다. 이 공을 통해 관자재보살의 실체를 본다.
이 주문을 문장으로 말하면 “진리는 바로 지금, 바로 여기 있다.”이다.
(책, “진리는 바로 지금, 바로 여기 있다.”의 제목이 무엇을 말하는지 이제 알 것이다.)
이미 있다. 있다. 모두 있다. 뭘 얻을 필요도 건너갈 필요도 없다. 이미 모두 있다. 바로 지금 바로 여기 모두 있다. 이미 있는 그대로다. 중생에게는 없고 부처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사실을 모른다고 또, 안다고 다를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미 여기 지금 모두 있기 때문이다. 중생도 없고 부처도 따로 없다. 사물도 사물을 바라보는 ‘나’도 당신이 믿는 모든 다른 세상도, 극락도 지옥도, 모든 신들도, 브라흐마도 비슈누도 시바도, 정말 어떤 예외도 없이 모두 다 바로 지금 바로 여기 있다. 너무도 명백한 사실이다. 삼세제불이 정확히 아는 사실이다. 이 사실에 눈을 떠라. 이 사실이 관세음보살이다. 이 진리가 관세음보살이다. 그렇게 관세음보살이 드러난다.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다.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있다. 있다. 모두 있다. 바로 지금 여기 모두 있음에 눈뜨게 하옵소서.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있다. 있다. 모두 있다. 바로 지금 여기 모두 있음에 눈뜨게 하옵소서.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있다. 있다. 모두 있다. 바로 지금 여기 모두 있음에 눈뜨게 하옵소서.
관련 글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 승아 제모 지사 바하 뜻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사바하 뜻, 아제아제바라아제 나무위키, 아제 뜻, 반야심경, 아제아제바라아제 출연진, 아제아제바라아제 줄거리, 아제아제바라아제 소설, 반야심경 해석